벤처창업 전진기지 창업보육센터
벤처창업 전진기지 창업보육센터
“걸음마 단계에 뜀박질 기대말라” 전국 3백47개 보육센터서 벤처들 ‘무럭무럭’…“일부 부실해도 애정 갖고 키워달라” 한목소리지난 94년부터 정부가 중소, 벤처기업의 창업촉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BI:비즈니스 인큐베이터)가 벤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일부 보육센터의 부실운용과 재정자립도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이 제기되고는 있지만 전반적인 평가는 합격점이다. 벤처 열기가 급속히 냉각된 이후에도 창업보육센터는 벤처창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이다.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정보 및 경영자원 부족, 경영관리 능력 미흡 등으로 사업에 어려움을 겪는 신규 창업자 또는 예비 창업자를 입주시켜 경영·기술·설비 등을 지원함으로써 창업촉진 및 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다.94년 초부터 추진됐지만 지지부진하다가 IMF 때 본격적으로 확대됐다. 당시에는 실업난 해소를 위한 정략적 성격이 강했지만 이후 불어닥친 닷컴 열풍과 맞물리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보육센터 전국에 3백47개올해 11월 현재 BI는 3백47개에 이른다. 중소기업청 주관이 2백92개로 가장 많고 정보통신부(52개), 과학기술부(1개), 문화관광부(2개) 등도 BI를 운영하고 있다..BI 사업의 실질적 주관 부처인 중기청은 지난 98년부터 지난해까지 센터 건립비로만 1천7백91억원을 투입해 2백92개 BI를 지원하고 있다. 그 중 2백42개는 전국 각 대학이 운영주체다..대학 주체 BI 외에 연구소나 지자체, 공공법인 및 민간법인이 운영하는 BI도 50개에 이른다. 전자부품연구원, 과학기술연구원 등 연구원 운영이 19개고 지자체는 13개, 공공법인과 민간법인은 각각 9개씩이다..연구소 BI에는 각각의 특성에 부합하는 입주업체들이 들어와 있다. 가령 요업기술원 BI에는 세라믹 관련 1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는 바이오 산업 관련 24개 업체가 소속돼 있다..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BI의 경우는 입주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 13개 지자체 운영 BI 중 9개 보육실이 모두 찼다. 13개 BI에 총 2백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각 지역의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일부 공공기관들도 BI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 12개 지역에 1백43개 업체가 입주했다. 서울 중소기업진흥공단 소프트웨어 분야, 인터넷 분야 2곳을 비롯한 한국산업단지공단, 국방벤처센터 등 서울지역 지자체 운영 BI 4곳은 모두 공실률이 제로다..민간기업 중에도 벤처창업 보육센터를 운영하는 곳이 있다. 모두 9곳. 순수기업으로 SK, 한화, 세원텔레콤, 동부한농화학, 바레사하우징 등이다. 한국기술벤처재단이 보육실 40개로 규모가 가장 크고, 벤처기업협회에도 11개 업체가 들어가 있다. 벤처기업협회는 지금까지 31개 업체를 졸업시켰다..BI는 미숙아와 마찬가지인 벤처창업 희망자에게는 그야말로 인큐베이터와 같은 곳이다. 11월 현재 중기청 지정 2백92개 BI 중 2백88개가 운영되고 있다. 공실률이 높아 문을 닫는 곳이 이어질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운영률이 98.6%에 이른다..현재 2백88개 BI에 입주해 스타 벤처를 꿈꾸는 업체는 총 3천8백72개에 이른다. BI를 졸업한 업체만 해도 2천5백93개다..물론 BI 입주업체 중에는 벤처기업 확인을 받지 않은 2년차 미만 신생기업이 다수다. 정부는 그 동안 BI 건립비의 70% 이내로 사업자당 10억원 가량을 지원해 왔다. BI 운영비 보조금도 약 2천만∼5천만원씩 지급했다..단 엄격한 평가 툴을 이용해 상위 80%의 센터에만 운영비를 차등 지원했다. 가령 A그룹 평가를 받은 BI에는 4천2백만원, B그룹은 3천2백만원을 지원했지만 하위 20%에 속하는 D그룹에는 지원을 하지 않음으로써 BI간 경쟁을 유발했다. 또한 중기청 지정 BI에 대해서는 등록세 및 취득세 면제를 비롯해 소득세 및 법인세, 재산세, 종토세 등을 감면해 줬다..중기청은 BI가 어느 정도 질적 성장을 이뤘다고 판단하고 올해부터는 신규건립 지원을 중단하면서 기존 BI의 내실화를 위한 지원으로 방향을 바꿨다..입주 보증금 평당 3만5천원.BI에 입주한 업체는 매우 만족스러운 조건에서 창업을 시작하게 된다. 1999년 5월 개소해 현재 29개 보육실에 업체가 모두 입주해 공실률 ‘0’인 건국대 창업보육센터를 예로 들어보자. 건대 BI에는 정보처리, 전자부품, 바이오 환경 관련 29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이들 업체는 평당 3만5천원의 입주 보증금과 월 관리비 3만원으로 5평부터 15평까지의 사무실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영과 회계, 자금 분야에 대한 인큐베이팅도 받을 수 있다. 건대 BI의 경우 경영분야는 SMG컨설팅에서 담당하고, 회계는 삼일회계법인, 자금은 신용보증기금의 컨설팅을 받는다..비즈니스 컨설팅은 코브레인컨설팅그룹과 건대 벤처전문기술학과 교수들이 돕는다. 이밖에 1명의 센터장과 4명의 매니저가 사무행정 및 법률 서비스까지 해준다. 벤처 기술인들의 바람인 ‘기술개발에만 전력할 수 있는’ 환경인 셈이다..BI 입주업체 실적 향상.하지만 그 동안 BI에 대한 IT 업계의 시선이 그리 곱지만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BI 공실률이 너무 높고 전문인력이 태부족하며, 입주 업체들의 실적도 나쁘다는 것이 주요 비난의 골자였다..이에 대해 중기청 관계자는 “일부 BI가 모럴해저드를 보이거나 부실 운영된 곳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말 그대로 일부”라면서 “그 동안 언론이나 IT 업계가 BI의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적인 면을 지나치게 부각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실제로 본지가 전국 2백40여 대학 운영 BI의 보육실 공실률을 조사한 결과 공실률 ‘0’인 곳이 83개였다. 1∼2개 보육실만 빈 곳은 84개였다. 공실률이 20%를 초과한 대학 BI는 연세대(7/22), 대구기능대(10/20), 한양대 안산캠퍼스(6/8), 세명대(8/26), 창원대(7/29) 등을 포함해 21곳이었다. 벤처 집적시설들이 잇따라 자진 취소를 하는 점과 비교해 볼 때 일부에서 지적하는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얘기다..또한 BI 입주업체들에 매출실적을 기대하는 사회적 인식도 문제로 지적된다. BI 입주업체들은 업력 2∼3년 미만이 대부분이다. BI가 존재하는 것은 이들 새내기 업체를 지원해 향후 건실한 벤처로 크는 것을 돕기 위함이다..경희대 BI에 입주해 있는 업체의 K사장은 “얼마전 보육센터 입주업체들이 자금난으로 입주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언론 보도를 보고 허탈감을 느꼈다”면서 “실제로 BI를 졸업하지 못하고 중도포기하는 업체는 극히 드물다”고 말했다..K사장은 “BI 입주업체가 4천개가 넘는데 그 중에서 쓰러지는 업체가 나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면서 “단지 보육센터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벤처 시장에 늘상 있는 일을 과장, 확대하는 건 인큐베이팅에 있는 아기를 강제로 꺼내려는 심보”라며 강한 불만을 내비쳤다..매출 추이만 보더라도 그리 나쁜 것은 아니다. 창업보육센터 입주 업체들의 매출 역시 규모는 크지 않지만 경영실적이 향상되고 있다..중소기업청이 최근 2백75개 창업보육센터의 지난해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입주기업의 총 매출액은 8천2백95억원인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다..센터 입주 이후 3년이 경과한 졸업 기업은 2002년 5백82개였고 올해부터는 매년 1천개 가까운 업체가 BI를 졸업할 것으로 전망된다..BI가 보다 전문적인 보육센터로서의 기능을 해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BI나 입주업체, 중기청 관계자 모두 공감한다. 대부분 센터장을 대학 교수가 겸임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운용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줄곧 제기돼 왔다..BI의 실무를 책임지는 매니저들의 전문성이 결여돼 있다는 지적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중기청 역시 사후 관리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일부 BI가 입주업체를 상대로 금품을 요구하거나 적절한 서비스를 하지 않는 등의 폐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도 주관 부처인 중기청의 직무유기라는 불만이 나오는 이유다..중기청과 업계에 따르면 BI를 졸업한 업체 중 약 20∼25%는 졸업 직후 휴업 상태에 들어가거나 폐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점만 본다면 BI의 보육기능 강화가 절실해 보인다..하지만 역으로 보면 나머지 75∼80%는 인큐베이터를 나와 생존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때문에 BI와 관련된 활성화 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애정을 갖고 키워달라’는 것이 BI 입주업체 관계자들의 공통적인 얘기다. 또한 BI 졸업 후 후속 지원 체계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정부의 벤처정책 가운데 BI는 성공적인 정책 후보 1순위로 꼽힌다. 그렇기 때문에 BI 관계자들은 좀더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지원을 바라는 것이다. 벤처가 한국 IT의 미래라는 인식이 아직 유효하다면 더욱 그렇다.
------------------------------------------------------------------------- 전국 3백47개 보육센터서 벤처들 ‘무럭무럭’…“일부 부실해도 애정 갖고 키워달라” 한목소리.지난 94년부터 정부가 중소, 벤처기업의 창업촉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BI:비즈니스 인큐베이터)가 벤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일부 보육센터의 부실운용과 재정자립도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이 제기되고는 있지만 전반적인 평가는 합격점이다. 벤처 열기가 급속히 냉각된 이후에도 창업보육센터는 벤처창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이다..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정보 및 경영자원 부족, 경영관리 능력 미흡 등으로 사업에 어려움을 겪는 신규 창업자 또는 예비 창업자를 입주시켜 경영·기술·설비 등을 지원함으로써 창업촉진 및 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다..94년 초부터 추진됐지만 지지부진하다가 IMF 때 본격적으로 확대됐다. 당시에는 실업난 해소를 위한 정략적 성격이 강했지만 이후 불어닥친 닷컴 열풍과 맞물리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보육센터 전국에 3백47개.올해 11월 현재 BI는 3백47개에 이른다. 중소기업청 주관이 2백92개로 가장 많고 정보통신부(52개), 과학기술부(1개), 문화관광부(2개) 등도 BI를 운영하고 있다..BI 사업의 실질적 주관 부처인 중기청은 지난 98년부터 지난해까지 센터 건립비로만 1천7백91억원을 투입해 2백92개 BI를 지원하고 있다. 그 중 2백42개는 전국 각 대학이 운영주체다..대학 주체 BI 외에 연구소나 지자체, 공공법인 및 민간법인이 운영하는 BI도 50개에 이른다. 전자부품연구원, 과학기술연구원 등 연구원 운영이 19개고 지자체는 13개, 공공법인과 민간법인은 각각 9개씩이다..연구소 BI에는 각각의 특성에 부합하는 입주업체들이 들어와 있다. 가령 요업기술원 BI에는 세라믹 관련 1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는 바이오 산업 관련 24개 업체가 소속돼 있다..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BI의 경우는 입주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 13개 지자체 운영 BI 중 9개 보육실이 모두 찼다. 13개 BI에 총 2백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각 지역의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일부 공공기관들도 BI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 12개 지역에 1백43개 업체가 입주했다. 서울 중소기업진흥공단 소프트웨어 분야, 인터넷 분야 2곳을 비롯한 한국산업단지공단, 국방벤처센터 등 서울지역 지자체 운영 BI 4곳은 모두 공실률이 제로다..민간기업 중에도 벤처창업 보육센터를 운영하는 곳이 있다. 모두 9곳. 순수기업으로 SK, 한화, 세원텔레콤, 동부한농화학, 바레사하우징 등이다. 한국기술벤처재단이 보육실 40개로 규모가 가장 크고, 벤처기업협회에도 11개 업체가 들어가 있다. 벤처기업협회는 지금까지 31개 업체를 졸업시켰다..BI는 미숙아와 마찬가지인 벤처창업 희망자에게는 그야말로 인큐베이터와 같은 곳이다. 11월 현재 중기청 지정 2백92개 BI 중 2백88개가 운영되고 있다. 공실률이 높아 문을 닫는 곳이 이어질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운영률이 98.6%에 이른다..현재 2백88개 BI에 입주해 스타 벤처를 꿈꾸는 업체는 총 3천8백72개에 이른다. BI를 졸업한 업체만 해도 2천5백93개다..물론 BI 입주업체 중에는 벤처기업 확인을 받지 않은 2년차 미만 신생기업이 다수다. 정부는 그 동안 BI 건립비의 70% 이내로 사업자당 10억원 가량을 지원해 왔다. BI 운영비 보조금도 약 2천만∼5천만원씩 지급했다..단 엄격한 평가 툴을 이용해 상위 80%의 센터에만 운영비를 차등 지원했다. 가령 A그룹 평가를 받은 BI에는 4천2백만원, B그룹은 3천2백만원을 지원했지만 하위 20%에 속하는 D그룹에는 지원을 하지 않음으로써 BI간 경쟁을 유발했다. 또한 중기청 지정 BI에 대해서는 등록세 및 취득세 면제를 비롯해 소득세 및 법인세, 재산세, 종토세 등을 감면해 줬다..중기청은 BI가 어느 정도 질적 성장을 이뤘다고 판단하고 올해부터는 신규건립 지원을 중단하면서 기존 BI의 내실화를 위한 지원으로 방향을 바꿨다..입주 보증금 평당 3만5천원.BI에 입주한 업체는 매우 만족스러운 조건에서 창업을 시작하게 된다. 1999년 5월 개소해 현재 29개 보육실에 업체가 모두 입주해 공실률 ‘0’인 건국대 창업보육센터를 예로 들어보자. 건대 BI에는 정보처리, 전자부품, 바이오 환경 관련 29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이들 업체는 평당 3만5천원의 입주 보증금과 월 관리비 3만원으로 5평부터 15평까지의 사무실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영과 회계, 자금 분야에 대한 인큐베이팅도 받을 수 있다. 건대 BI의 경우 경영분야는 SMG컨설팅에서 담당하고, 회계는 삼일회계법인, 자금은 신용보증기금의 컨설팅을 받는다..비즈니스 컨설팅은 코브레인컨설팅그룹과 건대 벤처전문기술학과 교수들이 돕는다. 이밖에 1명의 센터장과 4명의 매니저가 사무행정 및 법률 서비스까지 해준다. 벤처 기술인들의 바람인 ‘기술개발에만 전력할 수 있는’ 환경인 셈이다..BI 입주업체 실적 향상.하지만 그 동안 BI에 대한 IT 업계의 시선이 그리 곱지만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BI 공실률이 너무 높고 전문인력이 태부족하며, 입주 업체들의 실적도 나쁘다는 것이 주요 비난의 골자였다..이에 대해 중기청 관계자는 “일부 BI가 모럴해저드를 보이거나 부실 운영된 곳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말 그대로 일부”라면서 “그 동안 언론이나 IT 업계가 BI의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적인 면을 지나치게 부각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실제로 본지가 전국 2백40여 대학 운영 BI의 보육실 공실률을 조사한 결과 공실률 ‘0’인 곳이 83개였다. 1∼2개 보육실만 빈 곳은 84개였다. 공실률이 20%를 초과한 대학 BI는 연세대(7/22), 대구기능대(10/20), 한양대 안산캠퍼스(6/8), 세명대(8/26), 창원대(7/29) 등을 포함해 21곳이었다. 벤처 집적시설들이 잇따라 자진 취소를 하는 점과 비교해 볼 때 일부에서 지적하는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얘기다..또한 BI 입주업체들에 매출실적을 기대하는 사회적 인식도 문제로 지적된다. BI 입주업체들은 업력 2∼3년 미만이 대부분이다. BI가 존재하는 것은 이들 새내기 업체를 지원해 향후 건실한 벤처로 크는 것을 돕기 위함이다..경희대 BI에 입주해 있는 업체의 K사장은 “얼마전 보육센터 입주업체들이 자금난으로 입주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언론 보도를 보고 허탈감을 느꼈다”면서 “실제로 BI를 졸업하지 못하고 중도포기하는 업체는 극히 드물다”고 말했다..K사장은 “BI 입주업체가 4천개가 넘는데 그 중에서 쓰러지는 업체가 나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면서 “단지 보육센터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벤처 시장에 늘상 있는 일을 과장, 확대하는 건 인큐베이팅에 있는 아기를 강제로 꺼내려는 심보”라며 강한 불만을 내비쳤다..매출 추이만 보더라도 그리 나쁜 것은 아니다. 창업보육센터 입주 업체들의 매출 역시 규모는 크지 않지만 경영실적이 향상되고 있다..중소기업청이 최근 2백75개 창업보육센터의 지난해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입주기업의 총 매출액은 8천2백95억원인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다..센터 입주 이후 3년이 경과한 졸업 기업은 2002년 5백82개였고 올해부터는 매년 1천개 가까운 업체가 BI를 졸업할 것으로 전망된다..BI가 보다 전문적인 보육센터로서의 기능을 해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BI나 입주업체, 중기청 관계자 모두 공감한다. 대부분 센터장을 대학 교수가 겸임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운용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줄곧 제기돼 왔다..BI의 실무를 책임지는 매니저들의 전문성이 결여돼 있다는 지적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중기청 역시 사후 관리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일부 BI가 입주업체를 상대로 금품을 요구하거나 적절한 서비스를 하지 않는 등의 폐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도 주관 부처인 중기청의 직무유기라는 불만이 나오는 이유다..중기청과 업계에 따르면 BI를 졸업한 업체 중 약 20∼25%는 졸업 직후 휴업 상태에 들어가거나 폐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점만 본다면 BI의 보육기능 강화가 절실해 보인다..하지만 역으로 보면 나머지 75∼80%는 인큐베이터를 나와 생존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때문에 BI와 관련된 활성화 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애정을 갖고 키워달라’는 것이 BI 입주업체 관계자들의 공통적인 얘기다. 또한 BI 졸업 후 후속 지원 체계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정부의 벤처정책 가운데 BI는 성공적인 정책 후보 1순위로 꼽힌다. 그렇기 때문에 BI 관계자들은 좀더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지원을 바라는 것이다. 벤처가 한국 IT의 미래라는 인식이 아직 유효하다면 더욱 그렇다.
------------------------------------------------------------------------ 전국 3백47개 보육센터서 벤처들 ‘무럭무럭’…“일부 부실해도 애정 갖고 키워달라” 한목소리.지난 94년부터 정부가 중소, 벤처기업의 창업촉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BI:비즈니스 인큐베이터)가 벤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일부 보육센터의 부실운용과 재정자립도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이 제기되고는 있지만 전반적인 평가는 합격점이다. 벤처 열기가 급속히 냉각된 이후에도 창업보육센터는 벤처창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이다..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정보 및 경영자원 부족, 경영관리 능력 미흡 등으로 사업에 어려움을 겪는 신규 창업자 또는 예비 창업자를 입주시켜 경영·기술·설비 등을 지원함으로써 창업촉진 및 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다..94년 초부터 추진됐지만 지지부진하다가 IMF 때 본격적으로 확대됐다. 당시에는 실업난 해소를 위한 정략적 성격이 강했지만 이후 불어닥친 닷컴 열풍과 맞물리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보육센터 전국에 3백47개.올해 11월 현재 BI는 3백47개에 이른다. 중소기업청 주관이 2백92개로 가장 많고 정보통신부(52개), 과학기술부(1개), 문화관광부(2개) 등도 BI를 운영하고 있다..BI 사업의 실질적 주관 부처인 중기청은 지난 98년부터 지난해까지 센터 건립비로만 1천7백91억원을 투입해 2백92개 BI를 지원하고 있다. 그 중 2백42개는 전국 각 대학이 운영주체다..대학 주체 BI 외에 연구소나 지자체, 공공법인 및 민간법인이 운영하는 BI도 50개에 이른다. 전자부품연구원, 과학기술연구원 등 연구원 운영이 19개고 지자체는 13개, 공공법인과 민간법인은 각각 9개씩이다..연구소 BI에는 각각의 특성에 부합하는 입주업체들이 들어와 있다. 가령 요업기술원 BI에는 세라믹 관련 1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는 바이오 산업 관련 24개 업체가 소속돼 있다..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BI의 경우는 입주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 13개 지자체 운영 BI 중 9개 보육실이 모두 찼다. 13개 BI에 총 2백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각 지역의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일부 공공기관들도 BI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 12개 지역에 1백43개 업체가 입주했다. 서울 중소기업진흥공단 소프트웨어 분야, 인터넷 분야 2곳을 비롯한 한국산업단지공단, 국방벤처센터 등 서울지역 지자체 운영 BI 4곳은 모두 공실률이 제로다..민간기업 중에도 벤처창업 보육센터를 운영하는 곳이 있다. 모두 9곳. 순수기업으로 SK, 한화, 세원텔레콤, 동부한농화학, 바레사하우징 등이다. 한국기술벤처재단이 보육실 40개로 규모가 가장 크고, 벤처기업협회에도 11개 업체가 들어가 있다. 벤처기업협회는 지금까지 31개 업체를 졸업시켰다..BI는 미숙아와 마찬가지인 벤처창업 희망자에게는 그야말로 인큐베이터와 같은 곳이다. 11월 현재 중기청 지정 2백92개 BI 중 2백88개가 운영되고 있다. 공실률이 높아 문을 닫는 곳이 이어질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운영률이 98.6%에 이른다..현재 2백88개 BI에 입주해 스타 벤처를 꿈꾸는 업체는 총 3천8백72개에 이른다. BI를 졸업한 업체만 해도 2천5백93개다..물론 BI 입주업체 중에는 벤처기업 확인을 받지 않은 2년차 미만 신생기업이 다수다. 정부는 그 동안 BI 건립비의 70% 이내로 사업자당 10억원 가량을 지원해 왔다. BI 운영비 보조금도 약 2천만∼5천만원씩 지급했다..단 엄격한 평가 툴을 이용해 상위 80%의 센터에만 운영비를 차등 지원했다. 가령 A그룹 평가를 받은 BI에는 4천2백만원, B그룹은 3천2백만원을 지원했지만 하위 20%에 속하는 D그룹에는 지원을 하지 않음으로써 BI간 경쟁을 유발했다. 또한 중기청 지정 BI에 대해서는 등록세 및 취득세 면제를 비롯해 소득세 및 법인세, 재산세, 종토세 등을 감면해 줬다..중기청은 BI가 어느 정도 질적 성장을 이뤘다고 판단하고 올해부터는 신규건립 지원을 중단하면서 기존 BI의 내실화를 위한 지원으로 방향을 바꿨다..입주 보증금 평당 3만5천원.BI에 입주한 업체는 매우 만족스러운 조건에서 창업을 시작하게 된다. 1999년 5월 개소해 현재 29개 보육실에 업체가 모두 입주해 공실률 ‘0’인 건국대 창업보육센터를 예로 들어보자. 건대 BI에는 정보처리, 전자부품, 바이오 환경 관련 29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이들 업체는 평당 3만5천원의 입주 보증금과 월 관리비 3만원으로 5평부터 15평까지의 사무실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영과 회계, 자금 분야에 대한 인큐베이팅도 받을 수 있다. 건대 BI의 경우 경영분야는 SMG컨설팅에서 담당하고, 회계는 삼일회계법인, 자금은 신용보증기금의 컨설팅을 받는다..비즈니스 컨설팅은 코브레인컨설팅그룹과 건대 벤처전문기술학과 교수들이 돕는다. 이밖에 1명의 센터장과 4명의 매니저가 사무행정 및 법률 서비스까지 해준다. 벤처 기술인들의 바람인 ‘기술개발에만 전력할 수 있는’ 환경인 셈이다..BI 입주업체 실적 향상.하지만 그 동안 BI에 대한 IT 업계의 시선이 그리 곱지만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BI 공실률이 너무 높고 전문인력이 태부족하며, 입주 업체들의 실적도 나쁘다는 것이 주요 비난의 골자였다..이에 대해 중기청 관계자는 “일부 BI가 모럴해저드를 보이거나 부실 운영된 곳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말 그대로 일부”라면서 “그 동안 언론이나 IT 업계가 BI의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적인 면을 지나치게 부각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실제로 본지가 전국 2백40여 대학 운영 BI의 보육실 공실률을 조사한 결과 공실률 ‘0’인 곳이 83개였다. 1∼2개 보육실만 빈 곳은 84개였다. 공실률이 20%를 초과한 대학 BI는 연세대(7/22), 대구기능대(10/20), 한양대 안산캠퍼스(6/8), 세명대(8/26), 창원대(7/29) 등을 포함해 21곳이었다. 벤처 집적시설들이 잇따라 자진 취소를 하는 점과 비교해 볼 때 일부에서 지적하는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얘기다..또한 BI 입주업체들에 매출실적을 기대하는 사회적 인식도 문제로 지적된다. BI 입주업체들은 업력 2∼3년 미만이 대부분이다. BI가 존재하는 것은 이들 새내기 업체를 지원해 향후 건실한 벤처로 크는 것을 돕기 위함이다..경희대 BI에 입주해 있는 업체의 K사장은 “얼마전 보육센터 입주업체들이 자금난으로 입주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언론 보도를 보고 허탈감을 느꼈다”면서 “실제로 BI를 졸업하지 못하고 중도포기하는 업체는 극히 드물다”고 말했다..K사장은 “BI 입주업체가 4천개가 넘는데 그 중에서 쓰러지는 업체가 나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면서 “단지 보육센터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벤처 시장에 늘상 있는 일을 과장, 확대하는 건 인큐베이팅에 있는 아기를 강제로 꺼내려는 심보”라며 강한 불만을 내비쳤다..매출 추이만 보더라도 그리 나쁜 것은 아니다. 창업보육센터 입주 업체들의 매출 역시 규모는 크지 않지만 경영실적이 향상되고 있다..중소기업청이 최근 2백75개 창업보육센터의 지난해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입주기업의 총 매출액은 8천2백95억원인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다..센터 입주 이후 3년이 경과한 졸업 기업은 2002년 5백82개였고 올해부터는 매년 1천개 가까운 업체가 BI를 졸업할 것으로 전망된다..BI가 보다 전문적인 보육센터로서의 기능을 해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BI나 입주업체, 중기청 관계자 모두 공감한다. 대부분 센터장을 대학 교수가 겸임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운용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줄곧 제기돼 왔다..BI의 실무를 책임지는 매니저들의 전문성이 결여돼 있다는 지적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중기청 역시 사후 관리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일부 BI가 입주업체를 상대로 금품을 요구하거나 적절한 서비스를 하지 않는 등의 폐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도 주관 부처인 중기청의 직무유기라는 불만이 나오는 이유다..중기청과 업계에 따르면 BI를 졸업한 업체 중 약 20∼25%는 졸업 직후 휴업 상태에 들어가거나 폐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점만 본다면 BI의 보육기능 강화가 절실해 보인다..하지만 역으로 보면 나머지 75∼80%는 인큐베이터를 나와 생존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때문에 BI와 관련된 활성화 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애정을 갖고 키워달라’는 것이 BI 입주업체 관계자들의 공통적인 얘기다. 또한 BI 졸업 후 후속 지원 체계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정부의 벤처정책 가운데 BI는 성공적인 정책 후보 1순위로 꼽힌다. 그렇기 때문에 BI 관계자들은 좀더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지원을 바라는 것이다. 벤처가 한국 IT의 미래라는 인식이 아직 유효하다면 더욱 그렇다.
------------------------------------------------------------------------- 전국 3백47개 보육센터서 벤처들 ‘무럭무럭’…“일부 부실해도 애정 갖고 키워달라” 한목소리.지난 94년부터 정부가 중소, 벤처기업의 창업촉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BI:비즈니스 인큐베이터)가 벤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일부 보육센터의 부실운용과 재정자립도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이 제기되고는 있지만 전반적인 평가는 합격점이다. 벤처 열기가 급속히 냉각된 이후에도 창업보육센터는 벤처창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이다..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정보 및 경영자원 부족, 경영관리 능력 미흡 등으로 사업에 어려움을 겪는 신규 창업자 또는 예비 창업자를 입주시켜 경영·기술·설비 등을 지원함으로써 창업촉진 및 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다..94년 초부터 추진됐지만 지지부진하다가 IMF 때 본격적으로 확대됐다. 당시에는 실업난 해소를 위한 정략적 성격이 강했지만 이후 불어닥친 닷컴 열풍과 맞물리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보육센터 전국에 3백47개.올해 11월 현재 BI는 3백47개에 이른다. 중소기업청 주관이 2백92개로 가장 많고 정보통신부(52개), 과학기술부(1개), 문화관광부(2개) 등도 BI를 운영하고 있다..BI 사업의 실질적 주관 부처인 중기청은 지난 98년부터 지난해까지 센터 건립비로만 1천7백91억원을 투입해 2백92개 BI를 지원하고 있다. 그 중 2백42개는 전국 각 대학이 운영주체다..대학 주체 BI 외에 연구소나 지자체, 공공법인 및 민간법인이 운영하는 BI도 50개에 이른다. 전자부품연구원, 과학기술연구원 등 연구원 운영이 19개고 지자체는 13개, 공공법인과 민간법인은 각각 9개씩이다..연구소 BI에는 각각의 특성에 부합하는 입주업체들이 들어와 있다. 가령 요업기술원 BI에는 세라믹 관련 1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는 바이오 산업 관련 24개 업체가 소속돼 있다..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BI의 경우는 입주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 13개 지자체 운영 BI 중 9개 보육실이 모두 찼다. 13개 BI에 총 2백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각 지역의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일부 공공기관들도 BI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 12개 지역에 1백43개 업체가 입주했다. 서울 중소기업진흥공단 소프트웨어 분야, 인터넷 분야 2곳을 비롯한 한국산업단지공단, 국방벤처센터 등 서울지역 지자체 운영 BI 4곳은 모두 공실률이 제로다..민간기업 중에도 벤처창업 보육센터를 운영하는 곳이 있다. 모두 9곳. 순수기업으로 SK, 한화, 세원텔레콤, 동부한농화학, 바레사하우징 등이다. 한국기술벤처재단이 보육실 40개로 규모가 가장 크고, 벤처기업협회에도 11개 업체가 들어가 있다. 벤처기업협회는 지금까지 31개 업체를 졸업시켰다..BI는 미숙아와 마찬가지인 벤처창업 희망자에게는 그야말로 인큐베이터와 같은 곳이다. 11월 현재 중기청 지정 2백92개 BI 중 2백88개가 운영되고 있다. 공실률이 높아 문을 닫는 곳이 이어질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운영률이 98.6%에 이른다..현재 2백88개 BI에 입주해 스타 벤처를 꿈꾸는 업체는 총 3천8백72개에 이른다. BI를 졸업한 업체만 해도 2천5백93개다..물론 BI 입주업체 중에는 벤처기업 확인을 받지 않은 2년차 미만 신생기업이 다수다. 정부는 그 동안 BI 건립비의 70% 이내로 사업자당 10억원 가량을 지원해 왔다. BI 운영비 보조금도 약 2천만∼5천만원씩 지급했다..단 엄격한 평가 툴을 이용해 상위 80%의 센터에만 운영비를 차등 지원했다. 가령 A그룹 평가를 받은 BI에는 4천2백만원, B그룹은 3천2백만원을 지원했지만 하위 20%에 속하는 D그룹에는 지원을 하지 않음으로써 BI간 경쟁을 유발했다. 또한 중기청 지정 BI에 대해서는 등록세 및 취득세 면제를 비롯해 소득세 및 법인세, 재산세, 종토세 등을 감면해 줬다..중기청은 BI가 어느 정도 질적 성장을 이뤘다고 판단하고 올해부터는 신규건립 지원을 중단하면서 기존 BI의 내실화를 위한 지원으로 방향을 바꿨다..입주 보증금 평당 3만5천원.BI에 입주한 업체는 매우 만족스러운 조건에서 창업을 시작하게 된다. 1999년 5월 개소해 현재 29개 보육실에 업체가 모두 입주해 공실률 ‘0’인 건국대 창업보육센터를 예로 들어보자. 건대 BI에는 정보처리, 전자부품, 바이오 환경 관련 29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이들 업체는 평당 3만5천원의 입주 보증금과 월 관리비 3만원으로 5평부터 15평까지의 사무실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영과 회계, 자금 분야에 대한 인큐베이팅도 받을 수 있다. 건대 BI의 경우 경영분야는 SMG컨설팅에서 담당하고, 회계는 삼일회계법인, 자금은 신용보증기금의 컨설팅을 받는다..비즈니스 컨설팅은 코브레인컨설팅그룹과 건대 벤처전문기술학과 교수들이 돕는다. 이밖에 1명의 센터장과 4명의 매니저가 사무행정 및 법률 서비스까지 해준다. 벤처 기술인들의 바람인 ‘기술개발에만 전력할 수 있는’ 환경인 셈이다..BI 입주업체 실적 향상.하지만 그 동안 BI에 대한 IT 업계의 시선이 그리 곱지만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BI 공실률이 너무 높고 전문인력이 태부족하며, 입주 업체들의 실적도 나쁘다는 것이 주요 비난의 골자였다..이에 대해 중기청 관계자는 “일부 BI가 모럴해저드를 보이거나 부실 운영된 곳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말 그대로 일부”라면서 “그 동안 언론이나 IT 업계가 BI의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적인 면을 지나치게 부각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실제로 본지가 전국 2백40여 대학 운영 BI의 보육실 공실률을 조사한 결과 공실률 ‘0’인 곳이 83개였다. 1∼2개 보육실만 빈 곳은 84개였다. 공실률이 20%를 초과한 대학 BI는 연세대(7/22), 대구기능대(10/20), 한양대 안산캠퍼스(6/8), 세명대(8/26), 창원대(7/29) 등을 포함해 21곳이었다. 벤처 집적시설들이 잇따라 자진 취소를 하는 점과 비교해 볼 때 일부에서 지적하는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얘기다..또한 BI 입주업체들에 매출실적을 기대하는 사회적 인식도 문제로 지적된다. BI 입주업체들은 업력 2∼3년 미만이 대부분이다. BI가 존재하는 것은 이들 새내기 업체를 지원해 향후 건실한 벤처로 크는 것을 돕기 위함이다..경희대 BI에 입주해 있는 업체의 K사장은 “얼마전 보육센터 입주업체들이 자금난으로 입주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언론 보도를 보고 허탈감을 느꼈다”면서 “실제로 BI를 졸업하지 못하고 중도포기하는 업체는 극히 드물다”고 말했다..K사장은 “BI 입주업체가 4천개가 넘는데 그 중에서 쓰러지는 업체가 나오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면서 “단지 보육센터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벤처 시장에 늘상 있는 일을 과장, 확대하는 건 인큐베이팅에 있는 아기를 강제로 꺼내려는 심보”라며 강한 불만을 내비쳤다..매출 추이만 보더라도 그리 나쁜 것은 아니다. 창업보육센터 입주 업체들의 매출 역시 규모는 크지 않지만 경영실적이 향상되고 있다..중소기업청이 최근 2백75개 창업보육센터의 지난해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입주기업의 총 매출액은 8천2백95억원인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다..센터 입주 이후 3년이 경과한 졸업 기업은 2002년 5백82개였고 올해부터는 매년 1천개 가까운 업체가 BI를 졸업할 것으로 전망된다..BI가 보다 전문적인 보육센터로서의 기능을 해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BI나 입주업체, 중기청 관계자 모두 공감한다. 대부분 센터장을 대학 교수가 겸임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운용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줄곧 제기돼 왔다..BI의 실무를 책임지는 매니저들의 전문성이 결여돼 있다는 지적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중기청 역시 사후 관리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일부 BI가 입주업체를 상대로 금품을 요구하거나 적절한 서비스를 하지 않는 등의 폐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도 주관 부처인 중기청의 직무유기라는 불만이 나오는 이유다..중기청과 업계에 따르면 BI를 졸업한 업체 중 약 20∼25%는 졸업 직후 휴업 상태에 들어가거나 폐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점만 본다면 BI의 보육기능 강화가 절실해 보인다..하지만 역으로 보면 나머지 75∼80%는 인큐베이터를 나와 생존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때문에 BI와 관련된 활성화 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애정을 갖고 키워달라’는 것이 BI 입주업체 관계자들의 공통적인 얘기다. 또한 BI 졸업 후 후속 지원 체계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정부의 벤처정책 가운데 BI는 성공적인 정책 후보 1순위로 꼽힌다. 그렇기 때문에 BI 관계자들은 좀더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지원을 바라는 것이다. 벤처가 한국 IT의 미래라는 인식이 아직 유효하다면 더욱 그렇다.
-------------------------------------------------------------------------글 김태윤 기자 (pin21@joongang.co.kr) 출판호수 178 | 입력날짜 200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