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

홍보센터

게시물 상세
나, 사이언티스트 KIST 김경환박
작성자 : 관리자작성일 : 02.04.30조회수 : 5464
2002/04/30 17:23 '인간이 입을 수 있는 로봇'. '마이크로 로봇 집개', '캡슐 형 내시경'..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지능형마이크로시 스템연구센터의 김경환 박사 (35). 그렇게 오래지 않은 연구 경력에도 불구, 로봇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며 세계 정상을 꿈꾸는 젊은 과학자이다. 로봇하면 산업현장에서 사람 대신 일을 하는 것으로 연상하지 만 그가 세 계 최초로 개발한 '로봇웨어'로 불리는 입는 로봇 은 인간과 기계가 하나 가 되는 '휴먼-기계 인터페이스'를 구 현, 주목을 끈다. "원래 저희 집은 이공계 출신들로 뭉쳐 있어요. 서울대 공대 전기과를 나온 아버지 그리고 매형, 저까지 모두 이공계 출신 이죠" 반도체 장비 사업을 하고 있는 아버지의 공장에서 고등 학교 때 친구들과 함께 실험실을 만들기도 했다는 김 박사는 이런 집안 분위기 때문에 자 연스럽게 이공계 대학을 진학, 세계적인 로봇전문가를 꿈꾸는 과학자가 됐다. 연세대 전기과에 진학한 꿈 많은 김 박사가 로봇 분야에 빠 져 들게 된 것은 4학년 재학중 퍼지이론의 대가인 전자과 박 민용 교수를 만나면서 부터였다. "미국 유학도 생각했는데 박 교수님이 로봇 연구를 위해 동경 대학 유학 을 권유했었죠" 김 박사는 1992년 동경대학(전기공 학)에 들어가 로봇연구에 대한 눈을 뜨게 한 호리 요이치 교 수를 만나 로봇동작 제어를 공부하고 여기서 석. 박사학위를 받았다. 당시 호리 교수는 그에게 실용연구의 중요성을 가르 친 은사 이다. 종합 과학으로서의 로봇에 대한 그의 접근은 미국에서 이뤄졌 다. 동경대 학을 졸업한 김 박사는 미국 위스컨신대학에서는 기계 과에서, 텍사스A&M 대학에서는 전산과에서 박사후 과정 연구 원으로 공부했다. "기계, 전산, 전기 쪽에서 로봇을 접근하는 각각 방법이 다릅 니다. 로봇 을 전기과에서는 모터달린 기계로, 기계과는 기계의 연 결로, 전산과에서 는 인공지능을 실현할 수 있는 존재로 파악 하죠" 종합적인 접근이 가능해야 만 로봇을 이해할 수 있다 는 생각을 갖게 된 것은 미국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치면서 얻 은 소득이었다. 이후 지능형마 이크로시스템사업단의 박종호 박사의 요청으 로 귀국, KIST에 보금자리를 잡았다. 김 박사는 연구 방향을 크게 두가닥으로 잡고 있다. 하나는 인간과 기계 가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인간과 로봇 을 물리적으로 하나로 묶는 '사이보 그'를 탄생시키겠다는 것이다. "인간의 신체 일부를 대체하거나 인간이 로봇의 보조를 받아 힘을 증폭 할 수 있는 사이보그 연구는 선진국에서도 아직 초 보적인 수준입니다" 김 박사는 이런 연장선 상에서 세계 최초 로 인간이 입을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된 로봇인 '로보웨 어'(RoboWear)를 만들어 냈다. 이 연구에 대한 김 박사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보통 로봇을 제작하는데 전동식 모터를 사용하지만 공압(공기 를 주입해 힘을 만드는 기술)을 이용해 로봇을 입은 사람이 크게 불편해 하지도 않 고 무거움을 느끼지도 않게 하는 기술 을 적용해 세계 최초로 로보웨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기 때문 이다. 김 박사의 또 다른 연구 방향은 마이크로.나노 로봇의 개발이 다. 통상 로봇이 큰 물체를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와는 정반대로 접근해 '마이크로 세계', '나노 세계'를 다루는 로 봇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일단 김 박사는 사업단의 일원으로 최근 마이크로.나노 매니 퓰레이션 시 스템과 캡슐형 내시경을 개발해 냈다. 마이크로 매니퓰레이션 시스템은 세포를 조작하고 마이크로 나 나노단위의 미세한 부품을 다를 수 있는 로 봇이다. 이 분야는 나노기술(NT)과 생명공학(BT)의 만나 탄생한 기술 이다. "국내에서 어느 누구도 이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이 없는데 바 로 KIST같 은 국책연구소 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닐까요" 그 는 유독 로봇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이동'을 강조한다. 국내 로봇산 업이 고사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돌파구 를 찾아야 한다고 믿기 때 문이다. 한때 로봇을 생산하는 업체가 7개에 달할 정도롤 발전하던 로 봇산업이 국제통화기금(IMF) 한파 이후 대형 로봇을 만드는 현대중공업과 조립용 로봇을 만드는 삼성전자만이 명맥을 유 지할 정도로 붕괴 상태를 맞고 있 다는 지적이다. "일본은 이미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30년을 연구해 왔습니다. 일본을 따 라잡기는 현시점에서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어야 하겠지요" 김 박사는 요즘 도 새벽 5시에 출근하는 '아침형 인간'이다. 모든 중요한 일은 오전에 모두 끝내고 연구원들에게도 밤 늦 게 일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로봇연구 자체가 창조적인 작업이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Copyright ⓒ 매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글 <세계 나노기술 현장을 찾아서>
다음글 서울공대 논문실력 'A학점'